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설날이나 추석 명절에 지내는 차례나 제사 때 신주를 모시는 위패 대신하여 지방을 써서 지내죠. 증조부모, 조부모, 부모에 따라 쓰는 방법이 다 다르고 한자로 쓰기 때문에 기억하기도 어렵습니다. 제사나 차례 지낼 때마다 찾아보아야 하는데요. 오늘 그 어려움을 덜어드리기 위해 지방 쓰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설 추석 명절 차례, 제사의 지방의 의미

     

    ✔ 지방의 의미: 예전에는 조상의 위패인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었으나 지금은 사당도 위패도 없고 제사나 차례 때 임시로 위패를 대신하는 것으로 지방을 씁니다.

     

    차례, 제사에서 지방 쓰는 방법

     

    지방은 신위가 누구냐에 따라, 즉 제사상, 차례상을 누구에게 차려주는지에 따라 지방 쓰는 방법이 다릅니다.

    우선 지방에 적는 내용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습니다.

     

    지방에 들어가는 내용

     

    ✔ 고인과 차례,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

    ✔ 고인의 직위

    ✔ 고인의 이름

    ✔ 마지막은 '신위'를 씁니다.

     

    고인의 이름의 경우에는 남자는 모두 '부군'이라고 쓰고 여자의 경우에는 본관과 성씨만 씁니다. 동생이나 자식은 성을 빼고 이름만 적습니다.

     

    마땅한 직위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남자의 경우에는 '학생', 그 아내는 '유인'이라고 적습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증조부모, 조부모, 부모 지방 쓰는 방법

     

    ✔ 부모 한 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는 지방에 한 분만 씁니다.

    ✔ 부모 두 분 모두 돌아가신 경우에는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쓰는데, 오른쪽에 어머니 신위를, 왼쪽에 아버지 신위를 씁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남편, 아내, 자식, 동생, 형, 형수, 숙부모 지방 쓰는 방법

     

     

    ✅ 꼭 한자로 써야하는가

     

    사실 지방은 꼭 한자로 써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. 요즘은 한글로 지방을 쓰기도 합니다. 지방에 들어가는 내용을 모두 쓸 필요도 없으며 예를 들어 어머니의 경우에는 '어머님 신위'라고만 써도 무방하다고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명절, 제사에서 지방 대신 사용 가능한 것

     

    2022년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에서는 지방 대신 사진을 사용해도 된다고 발표했습니다. 반드시 한자로 된 지방을 써서 위패에 붙이고 제사나 차례를 지낼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. 조상님, 고인을 기리는 마음이 더 중요함을 강조하죠. 

     

    지방을 써서 위패를 둘 것인가, 사진을 놓을 것인가의 결정은 가족과 상의하여 합의한 방법으로 정하시면 되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★ 설날 추석 명절 연휴에 알아두면 유용하고 편리한 정보들 모음

     

    설날 그리고 추석 명절에 차례상 차리기, 간소화한 차례상, 온라인으로 성묘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. 또한 명절 연휴에 아프면 병원, 약국 문 닫는 일이 많으니 병원이랑 약국 알아보기 힘드셨죠? 집에서 가장 가까운 연휴 기간에도 운영하는 병원과 약국 정보 아래에서 알려드립니다.

     

    설날에는 세배와 세뱃돈을 받죠. 세배하는 방법과 세뱃돈 얼마가 적당한지 알아보았습니다. 명절에 또 중요한 정보가 바로 실시간 교통 정보죠. 실시간 교통 상황을 알려드릴게요. 지인들에게 새해 인사말, 명절 인사말 덕담 좋은 글 어떻게 보내실지 고민이시라면 인사말 덕담 모음 버튼도 꼭 클릭해 보세요.

     

    이 모든 정보를 보고 싶으시다면 스크롤을 내리셔서 원하는 정보의 버튼을 클릭하세요. 이 정보들을 통해 명절 연휴에 편안하고 편리하게 즐겁게 보내시기 바라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이 글을 읽으신 모든 분들, 즐거운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